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약

 

P84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

우울증의 약

우울증이란

WHO(세계 보건기구)의, 현재 우울증의 발병 확률은 인구의 약 3~5%라고 합니다. 그리고 우울증의 증상은 크게 아래와 같이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우울 기분(원인도 불분명하며, 우울감, 비애, 흥미 또는 기쁨의 감정의 상실)

의식, 행동장애(의욕과 집중력의 저하, 성욕의 저하 등)

사고장애(생각이 정리되지 않는다, 비관적으로 된다)

④신체장애(권태감, 식욕부진, 불면증, 두통, 어지러움증, 매스꺼움증등)

 

우울증의 원인의 대표적인 것이 스트레스를 들 수가 있다. 그 스트레스에서부터 오는 우울감은 뇌 안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부족에서 생기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다시 말해, 뇌 안의 신경세포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이 방출되어, 그것을 수용체(P24)가 받아 의욕과 활력이 전해지게 되는 것이다.

 

치료에는 약물치료가 기본

우울증에 치료에는 기본적으로 요양과 약물치료가 있다. 사용되는 항우울증 약은 개발된 년대에 따라 제1세 대 부터 제4세대까지 나누어진다.(오른쪽 표 참조) 우울증의 형태와 개개인의 체질 등을 고려해서 우울증 약이 처방된다.

 

■삼환계 우울증

 

P85

■사환 계우 울증

우울증의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는 삼환계 우울증 치료제보다는 약해졌습니다만,,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은 삼환계 우울증 치료제보다는 개선되었다. 한편, 삼환계 또는 사환계의 우울증 약을 투여할 경우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절대량이 증가하게 되어 수용체의 숫자가 감소해 가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우울증 증상의 개선으로 이어지는 것 또한 알게 되었다. 참고로 수용체의 감소를 하향 조절(down regulation)이라고 말한다.

 

SSRI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Inhibitor)를 뜻한다. 새로운 형태의 항우울증 약으로써 널리 사용된다.

특히 불안 또는 초조감이 강한 우울증에 효과가 있다. 그 때문에 패닉 장애와 강박성 장애에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 명칭 그대로 세로토닌 계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세로토닌을 증가시키도록 조절한다.

SNRI

세로토닌-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저해제(Serotonin Noradrenalin Reuptake Inhibitor)를 말한다. SSRI가 중추신경에 있는 세로토닌만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에 대해 SNRI는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양쪽을 증가시킨다. 비교적 빨리 효과가 나타나며, 부작용도 적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경도와 중간 정도의 우울증에는 제1선택 약으로써 SSRI(P85)SNRI가 사용됩니다.

 

부작용에 대한 대책과 그 알고리즘

우울증 약은 적어도 1~2주 이상 지속되지 않으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의 부족을 정상치로 돌리기 위해서 소요되는 기간인 것이다. 하지만 삼환계 항우울증 약(P84)에는(P84) 항콜린 작용이 있어, 장기간 투여를 할 경우에는 입이 마르거나, 변비 및 눈에 사물이 겹쳐서 보이는 등의 시각 조절장애 그리고 배뇨 곤란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는 항 우울증 약은 적은 양부터 복용하여 서서히 그 용량을 늘려간다.

그리고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경우에도 눈에 보일 정도로 좋아지게 되지 않은 경우에는 약간 강도를 높여 치료를 진행시킨다. 치료에서 효과가 없을 시 에는 다른 종류의 항우울증제를 사용한다.(아래 표 참조) 이와 같이 우울증을 효과 있게 치료해 나가기 위해 많은 경우 약물치료의 알고리듬(약물의 순서도)이 사용된다.

 

P88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

간질의 약

간질이란

뇌에 있는 신경전달 시스템의 일부가 필요 이상으로 작용하여 흥분상태가 지속되어 뇌파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 간질의 발작이다.

대뇌에 있는 신경세포(뉴런)는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전기적 활동을 합니다만 이 활동이 갑작스럽게 붕괴되어, 격렬한 전기적인 동요(신경세포의 과잉 발사)가) 일어나게 되어 발작이 일어나게 된다. 증상에는 손발의 경련 및 의식장애 또는 시각장애들이 있다. 또한, 정신질환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어, 정신과적인 면도 포함한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간질에는 뇌신경세포의 질병 또는 뇌의 기형 등이 없는 특발성 경련(진성 경련)과(진성 경련) 뇌종양 및 뇌혈관장애 등의 질병에서부터 2차적인 2 증상이 나타나는 증후성 경련이 있다. 또한, 정보전달을 하는 전기신호의 이상이 좌우 양쪽의 대뇌피질에 퍼져서 일어나는 발작을 전반 발작이라고 말하며, 뇌의 일부에서 일어나는 발작을 부분 발작이라고 부른다.

 

■특발성 부분 발작

수면 중에 발작이 일어나는 예가 많다. 가벼운 경련에 해당하며 그 치료 또한 비교적 쉽다.

 

■특발성 전반 발작

증상은 가벼운 경우가 많으며, 치료에 의해 발작 또한 일어나기 쉽다고 말할 수 있다.

소아 결신 간질(소아 결신 발작)은.

 

■증후 성부 분발작

전기신호장애의 발생장소에서부터 측두엽간질, 전두엽 간질, 후두엽 간질 등이 있다.

 

■증후 성전 반발작

발작이 빈번하게 일어나, 치료하기에 곤란한 질환이다. 고도의 외과적인 수술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중요 어구 정리

신경세포 P28

용어해설

경련: 근육이 의도와는 상관없이 격렬하게 수축하여 일어나는 발작

 

의식장애: 의식 혼탁과 의식 변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는 중증의 정도에 따라 혼수,

기면(lethargy), 경민,, 의식 곤란 상태가 된다.

응급의료의 현장에서는 이 증상을 3-3-93-3-9 방식으로 나타난다. 후자는 흥분과 배회 및 정상이 아닌 언행 등이 병적으로 나타나는 상태(잠재 망상 상태)라고(잠재 망상 상태) 한다.

 

대뇌피질: 대뇌의 표면을 덮고 있는 신경세포의 얇은 층.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측두엽으로 나눠지며, 지각, 수의 운동수의 운동(voluntary movement),

사고, 추리, 기억 등 여러 가지 고차원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⑤소아 결신 간질:살에서 8살까지의 어린이들에게 나타나며, 갑자기 의식이 없어져서 일시적으로 동작이 정지하게 되지만, 발작을 일으킨 다음에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정상적인 활동을 하게 된다.